본문 바로가기
코스닥 정리

2.20자 코스닥 거래량 상위(카나리아바이오, 피코그램, 브리지텍)

by 파우치록시 2023. 2. 21.
반응형

 

1. 카나리아바이오

상승률 +23.16% / 거래량 2437만주

관련기사

 

카나리아바이오 공매도 '5만건 이상 증가' 거래량 10만7651건... 공매거래 대금 '19억' 이상

[포인트데일리 홍미경 기자] 카나리아바이오 공매도가 하룻만에 5만건 이상 증가한 가운데 거래대금 역시 증가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나리아바이오 공매도는 10만7651건으로 나타났다. 이날 카나리아바이오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23.16%(3660원) 상승한 1만94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나리아바이오 공매도는 16일 5만1701건의 거래량을 보였으나 17일에는 4만8730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20일에는 10만7651건의 거래량을 나타내며 이번에는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 잔고수량은 32만1323건으로 20일 공매도 거래대금은 19억1806만4090원이다.

한국증권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short selling)는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매도하는 것으로서, 무차입공매도가 금지된 우리 증시에서는 일반적으로 차입한 증권을 매도(차입공매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자는 자신이 보유한 증권의 가격하락에 따른 손실을 회피(해지)하거나, 고평가된 증권의 매도를 통한 차익을 얻기 위해 주로 공매도를 활용하고 있다.

가격 거품을 빼주는 공매도는 자본시장에 필요한 제도이지만 금융당국이 불법 공매도를 촘촘히 모니터링하지 못한 탓에 개인 투자자의 불신이 커졌다는 비판도 나온다.


금융위는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령을 적용해 불법 공매도를 하다가 적발되면 과징금 부과는 물론 형사처벌까지 할 예정이다. 또 무차입 공매도 점검 주기를 기존 6개월에 1개월로 단축한다.

한편 이날 코스피 공매도 종목 순위는 한화솔루션 91만5028건, 대한전선 40만7010건, 카카오뱅크 32만9540건, KG스틸 27만6029건, 삼성전자 21만1395건, SK하이닉스 19만5957건, LG디스플레이 14만6433건, 하나금융지주 14만4099건, 팬오션 14만3066건, 메리츠증권 12만8835건, 후성 11만6895건, 미래에셋증권 11만1170건, 기아 11만595건 순이다.

또 코스닥 공매도 종목 순위는 성우하이텍 61만7632건, 다날 36만6290건, HLB 31만8526건, HLB생명과학 29만9건, 아난티 19만9585건, 에코프로비엠 19만7486건, 위메이드 17만9780건, SFA반도체 14만4709건, 포스코 ICT 9만9982건, 메지온 9만6356건, 하나마이크론 8만706건, 펄어비스 7만8462건 순이다.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출처 : 포인트데일리(https://www.thekpm.com

 

[시간외Y] 카나리아바이오 '하한가'

[프라임경제] 재테크와 투자, 부동산 등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큰 시대다. 특히 증권시장에서는 등락 폭이 큰 종목과 상한가와 하한가 종목 등 상황에 따라 울고 웃는 투자자들이 비일비재하다. 본지에서는 '시간외Y(why, 와이)'를 통해 당일 정규장 마감 이후 시간외 단일가 매매에서 강세와 약세를 기록했던 종목과 그 이유, 평가에 대해 살펴봤다.
 
20일 시간외에서는 카나리아바이오(016790)가 하한가를 기록했다.
 
카나리아바이오는 시간외에서 종가대비 9.97% 하락한 1만7250원 하한가를 기록했다.
 
카나리아바이오의 하한가는 지난해 7월 결의했던 주당 2주의 무상증자 기준일이 다시 한 번 연기됐다는 발표에 개인투자자들이 실망감을 느끼면서 강한 매도세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카나리아바오이는 금일 공시를 통해 이달 28일 기준으로 진행하려던 주당 2주의 무상증자 기준일을 주주 및 사채권자 등 이해관계자의 형평성을 고려한 경영판단에 의해 오는 7월27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2. 피코그램

상승률 +10.66% / 거래량 1871만주

관련뉴스

피코그램·코스모화학·대성홀딩스, FTSE 지수 편입…주가도 '훨훨'

코스모화학, 대성홀딩스 등 7개 종목이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지수에 새롭게 편입됐다.
20일 교보증권에 따르면 FTSE는 정기 종목 변경에서 코스모화학, 대성홀딩스, 피코그램, 일동제약, 금양, 삼양식품, 더블유씨피 등 7개 종목을 소형주 지수에 편입한다고 발표했다. 안트로젠, 벽산, 셀리드, 큐로컴, KH필룩스, 현대리바트, 교보증권, 미래에셋생명 등 8개 종목은 편출됐다. 이번 종목 변경은 다음달 17일 장 종료 후 지수에 반영된다.

 

FTSE 지수는 전 세계 펀드매니저들이 투자할 때 참고하는 대표적 벤치마크 지수다. 새로 편입된 종목에는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의 매수세가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보증권에 따르면 편입 종목을 매수하고 편출 종목을 매도하는 롱쇼트 전략은 역사적으로 좋은 성과를 냈다. 강민석 교보증권 연구원은 “반기 리뷰 발표 다음날 종가에 해당 종목들을 매수·매도하고 실제 지수 적용일에 포지션을 청산하는 전략은 평균 7.7% 수익률을 기록했다”며 “2014년 9월 이후 지난해 8월까지 총 17번 사례에서 모두 플러스(+) 수익을 냈다”고 말했다.

편입 종목만 동일한 비중으로 사들이는 전략도 고려할 만하다. 강 연구원은 “반기 리뷰 발표 다음날 종가에 매수하고 지수 적용일에 매도하는 전략은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보다 평균 3.7%포인트를 웃도는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했다.
이날 피코그램은 10.66% 오른 9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모화학(6.89%), 대성홀딩스(2.12%), 일동제약(2.83%) 등도 상승 마감했다.

 

3. 브리지텍

상승률 +25.31% / 거래량 1394만주

관련뉴스

[특징주]브리지텍, 전국민 AI 일상화 추진…최고수준 음성AI 부각

아시아경제 박형수 기자] 브리지텍 이 강세다.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는 가운데 음성인식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정부가 AI 서비스를 활용해 민생 현안을 해결하는 '전국민 AI 일상화 추진 계획'을 오는 6월 발표한다는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20일 오전 10시51분 브리지텍은 전 거래일 대비 18.46% 오른 8470원에 거래되고 있다.

브리지텍은 올해 들어 주가가 상승하면서 시가총액이 100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AI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브리지텍이 보유한 솔루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 안에 디지털 일상화·전략산업 지원·K-컬처 융합 관광 등 15대 신성장 프로젝트별 주요 대책을 30개 이상 발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한국판 챗GPT(대화형 AI) 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도 함께 마련한다. 초거대 AI 개발용 데이터 분석에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작권법 개정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이나 대학의 초거대 AI 모델 활용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민간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의료 AI 솔루션 개발도 확대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회사인 브리지텍은 AI 콜센터와 음성인식 · 화자인증, IP 기반의 유무선(지능망서비스, 무선이동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보유한 제품을 활용해 인프라를 구축한 후 기업고객에게 임대하고 사용하는 기간 비용을 받는 클라우드 환경의 소프트웨어 임대서비스 사업을 한다. 콜센터 사업은 금융, 통신, 공공기관, 기업고객 등을 대상으로 자체기술로 개발한 제품들로 고객이 요구하는 콜센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유지해준다. 콜센터를 구성하는 제품은 약 20여 종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모든 솔루션으로 자체기술로 확보하고 있다.

 

회사 측은 스마트 단말기 출시 이후 터치리스 인터페이스로 음성인식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브리지텍은 ▲콜센터 솔루션인 음성인식 기반 대화형 자동응답시스템(ARS / IVR) ▲사용자의 발성한 말을 이해하고 가장 적절한 답을 제공하는 AI 서비스 ▲녹취 파일이나 통화내용, 실시간 발성내용을 텍스트로 전환하는 딕테이션 기술과 텍스트 분석기술 ▲목소리로 본인을 확인하는 화자인증 등을 제공한다.

 

AI 콜센터는 학습한 AI 엔진 성능에 따라 서비스가 좌우되는데 산업 도메인별로 축적한 데이터베이스와 이용자의 이용패턴을 분석해 지속해서 학습시키고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통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아테나(Athena)는 컨택센터 솔루션 선도기업 브리지텍이 구축경험을 토대로 완성한 진화된 대화형 무인 상담 플랫폼이다. 음성인식(STT), 자연어이해(NLU), 음성합성(TTS),기계학습(ML/DL) 등의 인공지능(AI) 기술 탑재했다. 자연스러운 음성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멀티 AI 엔진을 지원한다.

 

음성봇, 챗봇을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을 통해 고객에게 편리하고 기다림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의 질의 분석을 통해 전문상담사를 연결하고 간단한 상담이나 거래성 업무 등을 대기 없이 바로 처리할 수 있다.

 

화자인증 서비스인 '캐치후(CatchWho)'는 발화자의 음성정보를 이용해 신원을 확인하는 생체인증 솔루션이다. 세계 최고의 화자인증 기술을 보유한 뉘앙스의 엔진을 적용해 인증과 검증에 사용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한다. 통화녹취 시스템 '벨로체(VELOCE)'는 IP기반의 녹취 솔루션으로 음성뿐만 아니라 상담화면을 동시 저장할 수 있다. 자체 원본 입증기술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우수한 시스템 구성과 아키텍처는 최고 수준의 데이터 무손실을 지원한다. 자체 원본성 입증 특허를 취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1년 4월 음성인식 전문 AI 업체 뉘앙스커뮤니케이션을 인수했다. 관련 업계는 뉘앙스의 음성인식 기술과 오픈AI의 챗GPT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